계장기술(PROCON)

기타 2022년 주력 산업 전망 <2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16회 작성일 22-02-14 18:52

본문

2022년 주력 산업 부문별 전망을 살펴보면, 수출은 세계 수요 회복과 수출 단가 상승으로 성장세가 지속되나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할 전망이고, 내수는 대부분 산업이 증가세를 유지하나 제한적 성장세이고, 수입은 단가 조정 및 기저효과로 2.8% 소폭 증가할 전망이고, 생산은 수출 및 내수 성장세 지속으로 대부분의 산업에서 증가하나 증가폭은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2. 정책적 시사점

1) 정책 환경 진단
국내외 저탄소·친환경 기조가 확산되었고, 환경 관련 규제 수준이 점차 강화되는 추세다.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및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발표로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산업 분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선제적 투자 및 대응이 필요하다.
또 디지털 전환,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산업·제품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경쟁력 제고 방안이 요구된다. 디지털 전환, 코로나19로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 등에 따라 새로운 제품 수요가 창출되고, 신산업이 출현하는 등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공급망 관리, 제품 고급화 및 차별화 요구가 강해지는 상황이다.
아울러 미·중 무역분쟁 및 첨단 기술 패권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2) 환경규제 강화 및 탄소중립 대응 대책
환경규제 강화 및 탄소중립 대응을 위해서는 친환경 제품 보급 확산을 위한 인프라 및 제도 개선과 생산 공정 디지털 전환, 친환경 제품 개발을 위한 지원 확대 방안이 필요하다.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044_8884.png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065_1353.png
3) 산업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경쟁력 제고 방안  
변화하는 산업구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내부 공급망 역량 강화, 디지털 전환 가속화, 제품 고부가가치화 및 유망 기술·제품 개발 지원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이 요구된다.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117_0636.png 

4)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방안 
미-중 무역·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 제품에 대한 자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을 강화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여 원료·소재의 대중 의존도 경감, 수출입선 다변화를 통한 글로벌 진출 강화, 공급망 전반의 역량 제고를 위한 산업 생태계 강화 지원 정책 등이 필요하다.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182_9436.png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212_7061.png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235_6222.png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256_5546.png
6f2e5faed57fbae7f08c23e6577b046f_1644832306_7341.png

 

카테고리

카테고리
현재(2019~)

잡지리스트

잡지리스트

이달의 광고업체

이달의 광고업체